리더십
과정 목표
신임 리더로서 팀 관리를 위한 준비 요소가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팀 관리, 조직 관리, 인적자원 관리 별 운영 프로세스를 습득하여 현업에 적용할 수 있다.
대상
신임 팀장
예비 팀 리더
시간
8 ~ 16시간

과정 내용
모듈 | 주요 내용 | 교수방법 |
---|---|---|
Prologue 뉴 리더, 리더십 아이덴티티 | 1. 리더십 타임 워프 Leadership Time Warp ㆍ팀원일때의 나, 팀장일때의 나! 같은 상황, 다른 결정 : 회사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카드를 뽑고 팀원일 때의 나, 팀장이 된 나의 답변을 비교하며 역할 변화에 대한 공감대 형성 2. 리더십 퀀텀 리프 Leadership Quantum Leap ㆍ리더가 된 나, 이렇게 변했다 : 리더십 타임 워프에서 공유한 의견을 기반으로 팀원일 때의 나와 리더가 된 현재의 나의 변화 상황 작성 ㆍ기대역할 인식과 리더로서의 성공 3. 리더십 뷰파인더 Leadership Viewfinder ㆍ리더십 갤러리: 사진으로 표현하는 리더십 정의 ㆍ리더십에 대한 조작적 정의 4. 리더십 트라이어드 Leadership Triad ㆍ리더가 관리해야 할 세 가지 영역 : John Adair Model_일 관리(Task), 사람 관리(Individual), 조직 관리(Team) | 강의 토의 |
Task Management 지속가능한 성과관리 | 1. 성과/성과관리에 대한 재인식 ㆍ성과/성과관리의 조작적 정의와 리더에게 갖는 의미 ㆍ성과관리의 개념적 체계와 관리 프로세스(Plan-Do-See) 2. 성과관리 단계별 리더의 역할과 핵심 스킬 ① Plan 단계 ㆍ목표 설정 프로세스와 단계별 리더 역할 핵심 ㆍ팀 중점과제(목표 항목) 도출 ㆍ자사의 목표 Dashboard(팀원 목표) 구성항목 의미와 리더의 체크 포인트 ② Do 단계 ㆍ가치 있는 피드백을 위한 Fact Gathering Skill과 사례 ㆍ(역량 평가항목이 있는 경우) 역량 평가를 위한 관찰 포인트 ㆍ중간 면담 대화 프로세스와 성공 포인트 ③ See 단계 ㆍ평가 프로세스(자기평가-사전면담-평가확정-사후면담) ㆍ공정한 평가를 위한 원칙과 주의점 ㆍ성공적인 평가 면담 대화 프로세스와 운영 포인트 | 강의 토의 실습 |
People Management 1 심오피스 퍼스널 리더십 | 1. 개인화Individual 시대 구성원 관리 ㆍ팀원 파악, 업무 특성별 맞춤 관리, 팀원 기대 관리 2. [진단&Activity] 우리 팀 프로파일링 ㆍ이런 상황, 우리는 이렇게 행동한다. : 팀원의 평소 언행을 떠올리며 주어진 질문에 답하며 나와 팀원의 업무 유형의 차이 인식 3. 심오피스로 보는 업무성향 이해 ㆍ업무 성향 진단 심오피스의 9가지 업무 유형 이해 ① 행동형: 규칙형, 성과형, 주도형 ② 협력형: 친절형, 안전형, 평화형 ③ 독립형: 창조형, 연구형, 긍정형 4. 나의 리더십 유형은? ㆍ나의 심오피스 진단 결과 디브리핑 ㆍ리더십 발휘 상황에서 나의 강점 활용하기 5. 우리 팀원과 효과적으로 Link In ㆍ어쩐지 편한 구성원 VS. 어쩐지 불편한 구성원 ㆍ팀원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소통법 | Activity 강의 진단 토의 |
People Management 2 상황대응 리더십 | 1. [Activity] Leadership Pizza 만들기 ㆍ자신의 리더십 강점을 피자조각으로 표현하며 리더십에 대한 공감대 형성 2. 상황대응 리더십 핵심 개념 이해 ㆍ개인 성과 발휘 요소: 능력 X 의욕 ㆍ구성원 발달 단계: 열정적인 초보자, 좌절한 학습자, 조심스러운 업무수행자. 자기주도적 성취자 ㆍ구성원 육성을 위한 리더의 두 날개: 지시와 지지 ㆍ[진단] 나의 리더십 스타일 찾기 ㆍ4가지 리더십 스타일: 지지형, 지시형, 위임형, 지시형 3. 구성원 성장 단계에 따른 맞춤형 육성 ㆍ[사례연구] 리더십 스타일 매칭 ㆍ[실습] 우리 팀원 발달 단계에 맞는 효과적인 육성 방법 찾기 4. Action Plan ㆍ팀원 별 구체적 육성 방법 계획, 필요 행동 작성 | Activity 강의 진단 토의 사례연구 실습 |
TeamManagement 성장하는 팀 만들기 | 1. [Activity] Team Assignment ㆍ제한된 정보, 제한된 소통 상황에서 팀 미션 수행을 통해 고성과 팀의 특성을 이해하는 활동 ㆍ성과내는 조직의 3가지 특성: 공유된 목표, 집단지성을 통한 문제해결, 지속적 개선 의지 2. 우리 팀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조직 관리 ㆍ팀 발달 단계 이해 – 팀 스타일 파악 – 팀 멘탈 모델 구축 3. 우리 팀 발달 단계 이해 ㆍ팀 내부 역동성과 성숙도에 따른 전략 ㆍ형성기Forming– 격동기Storming – 규범기Norming- 성과기Performing 4. 팀 스타일 파악 ㆍ조직 구조와 업무 특성에 따른 관리 전략 ㆍ스포츠 팀 메타포로 알아보는 우리 팀 특성 이해 : 선수 구성, 상호 의존 정도, 팀 성공의 정의, 감독의 역할 ㆍ우리 팀 캐릭터 분석 5. 팀 멘탈 모델 구축 ㆍ팀 멘탈 모델의 구성요소와 구축 프로세스 ㆍ구성요소별 요구 조건 ㆍ[실습] 팀 멘탈 모델 구축 연습 | Activity 강의 토의 실습 |
01
모듈
신임 팀장으로서 변화된 역할 인식
주요 내용
- 변화된 역할 인식의 중요성
- 팀장의 역할 체험 Activity
- 팀장으로서 팀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역할이 무엇이며 각 역할에서 균형이 중요함을 경험해 볼 수 있는 Activity
- 리더가 관리해야 할 세 가지 영역 : Team, Task, People
- 이 리더는 어떤 활동을 했는가?(사례연구)
교수 방법
강의
Activity
동영상
Activity
동영상
02
모듈
Team management (조직 관리)
주요 내용
- 팀 프로세스 개선
- 팀 프로세스 의미와 구축 절차
- 팀 유형에 따른 팀워크 수준 관리
- 스포츠 팀 성격으로 빗대어 보는 팀의 특성 및 관리 포인트
- 팀 유형별 리더의 역할과 팀워크 관리 방안
- 팀 발달단계 맞춤 관리
- 팀 발달단계 별 특성
(핵심 이슈, 과업/관계 상 목표, 팀원들의 행동, 리더의 역할, 주요 딜레마) - 팀 발달단계에 따른 개입 활동 실습
- 팀 발달단계 별 특성
교수 방법
강의
팀 토의
동영상
개별 작성
팀 토의
동영상
개별 작성
03
모듈
Task Management (과업 관리)
주요 내용
- 핵심과제 도출과 Alignment
- 핵심과제 도출 및 Alignment 프로세스
- Team Mental Model을 통한 팀 목표 수립
- 지속적 성과 개선 프로세스
- 지속적 성과 개선 프로세스 및 운영 방법
- 지속적 성과 개선 행동 도출 워크숍(실습)
교수 방법
강의
팀 토의
개별 작성
팀 토의
개별 작성
04
모듈
People Management (인적자원관리)
주요 내용
- 팀 구성원 파악
- 팀 구성원 파악 프로세스
- 개별 면담 시 활용할 수 있는 질문 개발
- 업무 특성별 맞춤 관리
- 업무 스타일 진단
- 업무 특성별 관리 방법
- 팀원의 기대 관리
- 팀장의 기대 관리 활동
- 기대 충돌 관리 아이디어 개발
교수 방법
강의
팀 토의
진단
실습
팀 토의
진단
실습
05
모듈
리더십 적용 현업과제도출
주요 내용
- 현업 팀 상황을 고려한 리더십 적용 현업과제 도출
교수 방법
강의
팀 토의
팀 토의
Post Views:
1,396
Tagged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