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현장관리자 리더십 인사이트
Learn to Earn!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갈등과 문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심리적 안전감을 조성하여 협업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는 리더십 역량 개발 프로그램
Learn to Earn!
현장직책자로서 변화된 역할과 조직의 중간관리자로서
팀워크와 현장소통을 촉진
반원들의 동조와 지지를 얻는 영향력 스킬을 개발하고,
직장을 도와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팔로워십을 개발하는 과정
Learn to Earn!
현장직책자로서 변화된 역할과 조직의 중간관리자로서 팀워크와 현장소통을 촉진 반원들의 동조와 지지를 얻는 영향력 스킬을 개발하고, 직장을 도와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팔로워십을 개발하는 과정
과정 목표
ㆍ리더에게 갈등관리가 중요한 이유를 알고 갈등관리를 위한 역할 이해
ㆍ문제해결 프로세스를 알고 현장에 적용
ㆍ심리적 안전감 문화 조성을 위한 구체적 행동 수칙 수립
대상
기존 현장관리자
시간
8 ~ 16시간
과정 내용
모듈 | 주요 내용 | 교수 방법 |
---|---|---|
갈등이해 | 1. [Activity] Change puzzle ㆍ제품 생산 공정 과정(퍼즐조립)에서 일어나는 변화로 인한 갈등과 감정변화를 경험하는 활동 2. 갈등의 속성 ㆍ갈등의 순기능과 역기능 3. 리더에게 갈등이 중요한 이유 ㆍ갈등 자체보다 갈등에 임하는 리더의 태도가 중요 ㆍ갈등을 방치했을 때 지불해야 하는 갈등 비용 ㆍ갈등관리를 위한 리더의 역할: 잠재된 갈등 사전파악-갈등이 발생했을 때 신속한 해결-재발방지를 위한 사후 관리 | Activity 강의 토의 |
갈등관리 | 1. [토의] 내가 경험한 조직 내 갈등 상황 ㆍ업무적 갈등과 관계적 갈등 ㆍ조직 내에서 경험한 갈등 상황 공유 : 갈등 당시의 감정과 상황이 종료된 후, 그리고 지금 그 상황을 떠올렸을 때 감정 비교하기 2. 갈등 중재 프로세스 의지확인– 원인분석– 개입하기 ① 의지확인: 구성원의 갈등 해결 의지를 확인하는 질문하기 ② 원인분석: 갈등의 진짜 원인 파악을 위한 감정, 욕구 이해 ③ 개입하기: 지켜보기, 코칭개입, 중재개입, 직접해결 3. [실습] 이럴때는 어떻게? ㆍ현장의 갈등 상황 사례에 가장 효과적인 갈등 개입 방법 적용하기 |
|
문제해결사로 현장관리자의 역할 | 1. [Activity] 문제인 것VS. 문제 아닌 것 ㆍ상황을 보고 문제인 것과 문제가 아닌 것을 구분하는 활동을 통해 문제의 속성을 이해함 ex) 불량률이 지난 달 대비 15% 증가했다, 외국인근로자가 한국어를 잘 못한다. 2. 문제 유형 구분하기 ㆍ우리 현장의 문제: 우리 현장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는? 자주발생하지는 않지만 중요한 문제는? 우리조직의성장을위해해결되면좋은문제는? 3. 리더는 문제해결 문화를 만드는 사람 ㆍ학습하는 조직, 성장하는 조직의 조건 ㆍ문제해결 역량은 조직의 역량 |
|
리더의 문제해결 관리 | 1. 문제해결 프로세스 문제인식– 원인정의– 해결방안 탐색– 아이디어 실행 ① 문제인식 : 문제를 문제로 인식하기 / 문제인식을 위한 질문 스킬 ② 문제정의 : [Activity] 잔디정원과 두더지 / 문제정의를 위한 네가지 요건 / 인과관계 분석 ③ 해결방안 탐색: 아이디어 수렴_아이디어 도출을위한질문스킬 / 아이디어 선정_아이디어 선정의 절대적 기준&상대적 기준 ④ 아이디어 실행: 실행을 위한 정보 공유 / 실행을 위한 R&R 공유 2. 조직의 암묵지를 조직의 형식지로 ㆍ문제해결 노하우 공유의 중요성 ㆍ문제해결 사례카드 활용하기 |
|
심리적 안전감 부스트 업 | 1. [Activity] 안전타워 만들기 ㆍ무너지기 쉬운 구조물을 확장시켜나가는 활동을 통해 현장에서 성과창출을 위해 심리적 안전감 조성이 중요함을 체험 2. 우리 현장에서의 심리적 안전감 리얼미터 ㆍ[모바일폴링] 즉석 설문으로 우리 조직의 심리적 안전감 실천 수준 체크 3. 성공하는 팀의 DNA, 심리적 안전감 ㆍ에이미 에드먼슨의 [두려움 없는 조직]과 구글의아리스토텔레스 프로젝트 ㆍ심리적 안전감에 대한 몇 가지 편견들 ㆍ생산현장에 심리적 안전감이 특히 중요한 이유 4. 나영석 PD 사례로 알아보는 심리적 안전감 ㆍ‘나PD님’은 어떻게 ‘영석이형’이 되었나 |
|
심리적 안전감 기어 체크 | 1. 심리적 안전감 기어 체크 ‘지금 우리 조직은?’ ㆍ실수해도 다시 도전할 기회가 주어지는 ‘용인’, 반론을 제시할 수 있는 ‘허용’, 문제를 제기하고 제안을했을 때 받아들여지리라는 ‘기대’,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느끼는 ‘존중’ 2. 우리 조직의 용인, 허용, 기대, 존중 수준 점검 ㆍ해결이 가능한 것인가? 불가능한 것인가? ㆍ점수가 높은 요소는 왜 그렇게 판단했나?(구체적인 사례, 관찰되는 행동 등) |
|
심리적 안전감 실천 툴 킷 | 1. 리더가 먼저 만드는 심리적 안전감 가이드라인 ㆍ질문으로 대화 시작하고 경청하기, 팀원들의 참여를 균등하게 촉진하기, 선제적으로 자신의 취약성 보여주기, 건설적인 피드백 주고받기, 실수를 학습기회로 재구성하기 2. 내일부터 바로 사용가능한 심리적 안전감 툴 킷 ㆍ심리적 안전감 가이드라인의 세부 실천사항 수립 3. 6개월 후 우리 조직은 ㆍ심리적 안전감 툴 킷을 실천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우리 조직의 모습은? |
01
모듈
현장 관리자로서의 역할
주요 내용
- 김 반장의 리더십 스토리
(보드게임 시뮬레이션)- 신임 현장관리자로서 겪게 되는 다양한 리더십 상황을 통해 현장관리자로서 바람직한 역할 탐색
- 직책자로서 역할 변화의 중요성
- 현장 관리자로서 변화 계획
교수 방법
보드
시뮬레이션
팀 토의
강의
시뮬레이션
팀 토의
강의
02
모듈
팀워크 촉진
주요 내용
- Team Crew Card Activity
: 팀워크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주도성을 발휘하고, 팀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경험함. - 팀워크 촉진을 위한 주도성 발휘
- 대응적 행동 vs. 주도적 행동
- 조직의 White Space를 메우는 선도자
- 나의 팀 역할 찾기
- 기능적 역할과 팀 역할의 균형 · 나의 팀 역할 찾기
교수 방법
Activity
팀 토의
강의
팀 토의
강의
03
모듈
현장소통 촉진
주요 내용
- 후배들이 원하는 반장의 역할
- 상하의 열린 소통 촉진
- 아래로 전달하는 메시지의 핵심
- 위로 전달해야 하는 메시지의 핵심
- 배려와 지원의 대화 스킬
- 관심과 배려를 통한 정서적 지원
- 난 알아요 Quiz · 업무적 소통을 넘어 정서적 소통으로
- 정서적 지원을 위한 질문 리스트 만들기(실습)
- 업무 몰입과 육성을 위한 건설적 피드백
- 자신감을 북돋게 하는 칭찬하기 · 상처 주지 않고 조언하기
- 관심과 배려를 통한 정서적 지원
교수 방법
Activity
팀 토의
R/P
팀 토의
R/P
04
모듈
현장 사원들의 동조와
지지를 이끄는 영향력 개발
지지를 이끄는 영향력 개발
주요 내용
- 나 어떡해…(Case Study)
- 영향력의 의미와 발휘 과정
- 영향력의 근원으로써 파워
- 영향력의 발휘 유형과 전략
- 영향력 전략 진단
- 영향력 재설계(Case Study)
교수 방법
사례연구
진단
팀 토의
진단
팀 토의
05
모듈
효과적 보좌를 위한 팔로워십 개발
주요 내용
- Blind Train Activity
: 팔로워들의 역할이 리더와 팀의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경험 - 리더의 성공과 팔로워십
- 효과적인 팔로워십 발휘의 의미
- 팔로워십 유형 진단 및 모범형 팔로워십 전략 수립
교수 방법
Activity
진단
팀 토의
진단
팀 토의
Post Views:
21
Tagged program